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큐슈올레 우레시노 코스
- 그랜드 뷰 포인트 오버룩 트레일
- 카나다록키 버그 레이크 트레일
- 조지아
- 카나다록키 비하이브 트레일
- 제주올레
- 지리산 둘레길
- 카나다록키 에메랄드 호수 트레일
- 알마티
- 큐슈올레 이즈미 코스
- 큐슈올레 구루메-고라산 코스
- 큐슈올레 이부스키 코스
- 홀슈 밴드
- 제주돌문화공원
- 모뉴먼트 밸리 &
- 가
- 카나다 록키 에펠 레이크 트레일
- 오름
- 자이언 캐년 트레일
- 큐슈올레 다케오 코스
- 카나다록키 볼드힐 트레일
- 그랜드 캐년 Rim Trail
- 그랜드캐년 브라이트 엔젤 트레일
- 산티아고 북쪽길
- 카나다록키 윌 콕스 패스 트레일l
- 제주숲길
- 브라이스 캐년 트레일
- 제주오름
- 아치스 국립공원
- 엔텔롭 캐년
- Today
- Total
목록우리의 산과 들/제주도 (83)
솜다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UeOE/btqGHrpQFiq/ZiRaCiVcdrxvftV3mUNVR1/img.png)
한림읍 상명리에 위치한 느지리오름은 예로부터 상명리를 "느지리 또는 니지리"라 불렀고, 조선시대 때 오름 정상에 "晩早望"이라는 봉수대를 설치했었기 때문에 일명 "망오름"이라고 부른다. 태아의 형상을 한 산책로 산책로 입구 산책로가 여러 코스이다 정상 전망대 전망대에서 보이는 주위 오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Wn5X/btqGCdRVGeZ/Pd6qsQ8NnK1U6TCSVcJ2S0/img.jpg)
금오름은 서부 중산간 지역의 대표적인 오름 중 하나이다. 도로에서 접근하기 쉽고 정비가 잘 되어있어 쉽게 오를 수 있는 곳이다. 산정상에 오르면 탓트힌 시야로 주위 풍경을 볼수 있는 곳이다. 분화구 내의 산정화구호는 거의 마른 상태이면 화구호 주위에 말을 방목하고 있었다. 생이못 분화구는 거의 마른 상태이면 분화구까지 내려갈 수가 있다. 주위에 말을 방목하고 있어 이곳을 찾는 관광객에 볼거리를 주고 있다. 금오름 정상부는 숲이 없고 풀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어, 시야가 좋으며 정상부에서는 이 지역일대를 조망할 수 있어 지리적 요충지였다고 한다. 오름주위는 알제 강점기 시에는 수많은 진지동굴이 만들어졌고, 4.3때 주민들의 피난처로 이용되기도 하였다한다. 현재는 2개의 진지동굴만 있다고 한다. 산정화구호 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P0hlz/btqGzYuiD3i/SBVmr1ewa9zhBIFMVY43c1/img.jpg)
분화구 모양이 승려의 공양그릇과 비슷하다 하여 "바리메"라고 불렀고 원형의 산정분화구이다. 큰바리메오름 바리메오름 주차장 입구에 들어서면 바로 급경사 계단이 시작한다. 급 계단길에 이어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길이다. 분화구를 일주하여 원점회귀한다. 오름정상. 한라산 방향으로 전망이 좋다. 구름에 가려진 한라산 바루모양의 분화구 큰노꼬메오름 분화구 둘레길 바리메 주차장 입구 바리메 주차장입구에서 5분정도 걸어가면 족은바리메오름 입구가 보인다. 안내판은 보이지 않으며 정비된 데크길이 오름입구이다. 족은바리메오름 입구 입구부터 정비된 산책로 정비된 산책로에서 정상부로가는 길은 숲이 우거진 길로 들어서야 하는데, 안내표지가 없어 길을 놓쳐 산책로를 따라가 정상에 오를 수가 없었다. 앞쪽이 족은바리메오름 정상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CjbP/btqGxlKwB2x/MYVobHVyssUDWFbOVlqsbK/img.jpg)
오라올레길은 제주시 오라동 한천계곡에 위치한 올레길이다. 시점은 KBS제주방송인근의 고지교에서 시작하여 방선문계곡까지 4.7km이다. 종점인 방선문계곡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없어 되돌아 나오던가, 애조로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면암유배길(5km)과 연계하는 코스도 하나의 방법이다. 제주시내에서 쉽게 갈수 있는 곳이다. 고지1교 아래를 지나고 급류로 침식된 계곡 방선문계곡 한라도서관인근 쉼터 한라도서관 제주아트쎈터 한천계곡 방선문계곡 방선문계곡은 붕괴위험등으로 출입금지를 하여 가볼 수가 없었다. 방선문계곡 입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Kgfo/btqGAxiH3vX/YOn4TjxEaIUkPJunJEiPY1/img.jpg)
오늘의 코스는 들머리는 영실매표소에서 시작하여 하원수로길, 법정악을 거쳐 날머리는 서귀포자연휴양림이다. 영실매표소까지는 버스로 이동하여 영실매표소에서 휴게소 방향으로 약 1km를 오르면 하원수로길 입구 이정표가 보인다. 하원 수로길은 하원 마을에 논을 만들어 주민들의 식량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시작하였다. 영실물과 언물을 하원저수지로 보내서 논에 물을 대기위해 수로길을 만든 것이다. 한라산 등반코스로도 많이 이용했던 길이다. 영실매표소 매표소에서 휴게소 방향으로 하원수로길 입구 입구에서 본 수로길 폐쇄된 수로 코스는 수로를 따라 내려간다 토사로 메워진 수로길 이정표가 길을 안내한다 수로를 따라가는 진 초록의 숲길은 고요하고 한적하다. 토사로 흔적이 지워진 수로길 부서진 수로 쓸려온 돌로 메워진 수로 수로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