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카나다록키 윌 콕스 패스 트레일l
- 엔텔롭 캐년
- 카나다록키 비하이브 트레일
- 카나다록키 버그 레이크 트레일
- 제주숲길
- 카나다 록키 에펠 레이크 트레일
- 큐슈올레 다케오 코스
- 제주돌문화공원
- 제주오름
- 알마티
- 그랜드 뷰 포인트 오버룩 트레일
- 오름
- 제주올레
- 가
- 큐슈올레 우레시노 코스
- 홀슈 밴드
- 카나다록키 볼드힐 트레일
- 자이언 캐년 트레일
- 카나다록키 에메랄드 호수 트레일
- 산티아고 북쪽길
- 지리산 둘레길
- 모뉴먼트 밸리 &
- 아치스 국립공원
- 그랜드캐년 브라이트 엔젤 트레일
- 조지아
- 큐슈올레 구루메-고라산 코스
- 큐슈올레 이즈미 코스
- 큐슈올레 이부스키 코스
- 브라이스 캐년 트레일
- 그랜드 캐년 Rim Trail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57)
솜다리

오라올레길은 제주시 오라동 한천계곡에 위치한 올레길이다. 시점은 KBS제주방송인근의 고지교에서 시작하여 방선문계곡까지 4.7km이다. 종점인 방선문계곡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없어 되돌아 나오던가, 애조로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면암유배길(5km)과 연계하는 코스도 하나의 방법이다. 제주시내에서 쉽게 갈수 있는 곳이다. 고지1교 아래를 지나고 급류로 침식된 계곡 방선문계곡 한라도서관인근 쉼터 한라도서관 제주아트쎈터 한천계곡 방선문계곡 방선문계곡은 붕괴위험등으로 출입금지를 하여 가볼 수가 없었다. 방선문계곡 입구

오늘의 코스는 들머리는 영실매표소에서 시작하여 하원수로길, 법정악을 거쳐 날머리는 서귀포자연휴양림이다. 영실매표소까지는 버스로 이동하여 영실매표소에서 휴게소 방향으로 약 1km를 오르면 하원수로길 입구 이정표가 보인다. 하원 수로길은 하원 마을에 논을 만들어 주민들의 식량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시작하였다. 영실물과 언물을 하원저수지로 보내서 논에 물을 대기위해 수로길을 만든 것이다. 한라산 등반코스로도 많이 이용했던 길이다. 영실매표소 매표소에서 휴게소 방향으로 하원수로길 입구 입구에서 본 수로길 폐쇄된 수로 코스는 수로를 따라 내려간다 토사로 메워진 수로길 이정표가 길을 안내한다 수로를 따라가는 진 초록의 숲길은 고요하고 한적하다. 토사로 흔적이 지워진 수로길 부서진 수로 쓸려온 돌로 메워진 수로 수로길 ..

대표적인 지질명소중의 하나인 선흘 곶자왈은 동백나무 10여만 그루가 숲을 이루고 있어, 동백동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곶자왈과 습지를 함께 볼 수 있고, 백서향 등 희귀식물이 자생하고 있는 곳이다. 람사르습지로 등록되어 보호 받는 곳이다. 제주도에는 5개의 습지가 등록되어 있는데 그중 한곳이다. 동백동산 입구 선흘리 마을지도 동백동산 습지쎈터 선흘곶은 용암이 지표를 흐른 대지위에 용암언덕(튜물러스)들이 생기고, 그 깨진 돌무더기의 틈으로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양치류가 풍성하며 난대성 상록수가 울창한 숲이다. 동백동산 탐방코스 먼물깍 방향으로 코스 진행 도틀굴 숯막터 먼물깍